유럽에서 희생자가 급증하자 각국은 지난 3월부터 강도 높은 봉쇄 조치와 이동 제한령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북유럽의 스웨덴 만은 '집단면역' 개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면적 봉쇄 대신 제한적 거리 두기만 시행하면서 국가 전체의 면역력을 높여간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상점과 카페, 체육관이 문을 열었고, 50명 이상의 대규모 모임만 금지됐을 뿐입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의 확진자와 사망자는 가파르게 증가했고 특히 인구당 사망자 수는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집단면역 정책으로 많은 고령자가 희생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의 90%가 70대 이상에 몰렸고, 이 중 절반은 노인 요양시설에서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보건당국 책임자도 희생자가 많았다는 점에서 정책적 실패를 일부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보완책이 추가될 뿐 스웨덴의 대응 기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. <br /> <br />국민의 상당수가 지금의 대응이 미흡한 점도 있지만 옳다고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안에서도 집단면역 방침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 대한 정부 차원의 조사가 조만간 시작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ㅣ김성환 <br />자막뉴스 제작ㅣ이 선 에디터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60608551517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